▲장애인 고령화 (사진 =블로그)

고령장애인이 ‘장애’와 ‘노화’라는 이중고를 겪으면서도 서비스 및 정책 부족으로 인해 주로 가족을 통한 돌봄에 의존하는 등 더욱 어려움에 처해있다.

한국장애인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‘고령장애인의 욕구조사 및 중장기 정책방향’ 연구보고서를 최근 내놨다.

보건복지부 장애인현황에 따르면 전체 등록장애인 중 만 65세 이상의 고령장애인은 2007년 42.9%(90만 3000여 명)였던 반면 2016년 54.6%(137만여 명)로 증가했다.

이 같은 고령장애인 증가 추이에 비춰볼 때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이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실천적‧정책적‧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.

그러나 국내 고령인구 대상 복지서비스는 장애여부 또는 장애유형과 관련 없이 노인의 연령범주에 포함된 모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등 비장애 노인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, ‘장애’와 ‘노화’를 동시에 겪고 있는 고령장애인의 복지욕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.

이에 만 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을 12개 장애유형으로 나눠 장애인 관련 협회 및 전국 장애인복지관을 통해 진행한 결과, 자신의 건강상태에 불만족하면서, 건강증진을 위해 강화했으면 하는 국가의 역할로 ‘건강검진’을 1순위(31.5%)로 꼽았다.

또한 3개월 이상 앓고 있는 질환 유무에 지적장애인은 46%, 그 외 장애인은 70.3%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고 답했으며, 고령장애인이 만성질환을 치료하지 않는 이유로는 ‘경제적 이유’가 응답의 절반을 차지했다.

연구는 이외에도 고령장애인의 주요 돌봄제공자의 51.6%가 가족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가족 돌봄제공자의 욕구에 대해 돌봄스트레스 및 가족갈등, 일‧돌봄 균형 등 7개 영역을 중심으로 함께 살폈다.

고령장애인과 가족돌봄제공자의 욕구조사를 파악한 후 고령장애인과 가족돌봄제공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‧장기 정책제언을 담았다.

저작권자 © 한국장애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