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권위는 지난 4월 장애인차별예방 현장 모니터링단(158명)을 구성하고, 5월부터 7월까지 서울, 경기, 부산, 광주, 대구, 대전 등 전국 6개 권역에서 장애인의 접근성과 차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했다.

모니터링 결과, 청각장애인이 엘리베이터와 화장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비상상황 발생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연락처(문자)가 제공되는 곳은 지하철이 15.5%(엘리베이터), 3.4%(화장실)였으며, 철도는 26.7%(엘리베이터), 4.6%(화장실)로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.

대상은 △지하철·철도역사 153개소 △학교 204개소 △직업교육훈련기관 20개소 등 총 377개소 교통시설과 교육기관이다. 모니터링단에는 장애인 당사자(지체‧뇌병변‧시각‧청각장애 등)도 60% 이상 참여해 장애인 눈높이에서 편의제공의 적절성을 직접 점검했다.

조사결과, 시·청각 장애인이 비상상황 시 초기에 대응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(비상벨·경광등) 설치비율은 80%상으로 높아졌으나, 철도역사 내 연속적으로 설치된 비율은 50%를 조금 넘는 수준(54.5%‧52.3%)으로 나타났다.

또한 역사 내 엘리베이터, 승강장 등 안내표지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춰 찾기 쉽도록 설치된 지하철은 53.9%(엘리베이터 근처), 55.4%(통로)였으며, 철도는 26.7%(엘리베이터 근처), 43.5%(통로)였다. 지하철 환승역의 경우 휠체어 사용 장애인이 쉽게 환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표지가 눈높이에 맞춰 설치된 역은 55.6%로 나타났다.

오는 29일 서울을 시작으로 이 같은 현장 모니터링 결과 보고회를 부산, 광주, 대전 등 지역별로 연이어 개최한다. 이번 보고회를 통해 올해 활동한 모니터링단 및 관계자들과 사업 결과 등을 평가, 논의할 예정이다.

인권위는 지난 2009년부터 해마다 장애인 차별예방 모니터링을 실시해오고 있다. 지난해에는 409개의 공공기관, 대형판매시설을 점검해 394개 기관의 개선을 이끌어내기도 했다.

저작권자 © 한국장애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